2nd Archive :: 2nd Archive

재료 :


보드카 - 40ml

크렌베리 쥬스 - 20ml

라임 쥬스 - 5ml

트리플 섹 - 5ml


가니쉬 : 라임껍질 혹은 레몬껍질


제조법 : 흔들기(Shaking)



조순서


1. 마티니 글래스를 준비하고, 얼음을 넣어 칠링한다.

2. 쉐이커에 가니쉬를 제외한 각 재료를 정량대로 넣는다.

3. 쉐이커를 체결하고 양손으로 잡은 뒤, 약 10초가량 힘차게 쉐이킹한다.

4. 마티니 글래스에 칠링한 얼음을 버리고, 쉐이커의 음료를 얼음이 딸려들어가지 않게 마티니 글래스에 따른다.

5. 라임껍질 혹은 레몬껍질을 짜서 즙을 낸 뒤 껍질도 넣는다.


재료순서 - 1순서 - 2순서 - 3순서 - 4순서 - 5

※조주기능사 시험에선 보드카 30ml에 나머지 재료들은 15ml씩 넣는다. 가니쉬는 동일하게 라임이나 레몬껍질을 사용한다.



에피소드 : 이 미묘한 빛깔의 칵테일은 1980년대 샌프란시스코에서 만들어졌다. 남자들에게 드라이 마티니가 가졌던 매력들처럼, 이 코스모폴리탄은 여성들에게 특히나 잘 어필됐었다고 한다.

섹스 앤 더 시티에서 유명세를 탔다고는 하나, 그전에 마돈나가 특히나 사랑한 칵테일이었다. 이후 그녀의 유명세만큼이나 파티장에서 유행하게 된 칵테일이라고 한다. 칵테일 이름(Cosmopolitan)의 의미대로 '세계적인' 칵테일이 되었다.


 : 재료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발색을 비교적 잘 조절할 수 있는 칵테일로, 본 글의 레시피상으로는 짙은 분홍색이 나온다. 늘 그렇듯 대표사진은 좀 잘 캐치가 안되었는데, 제조순서 사진 중 순서 - 3의 사진과 가장 유사한 색이다.

다른 재료의 비중에 따라 좀 더 붉은 발색이나 다른 붉은색 계열 발색도 가능하다.


 : 간혹 색과 매치되는 맛(달콤함)을 기대하는 경우도 있으나, 그리 달콤한 칵테일은 아니다. 크렌베리 쥬스가 들어갔다고 해서 달콤함이 막 느껴지진 않는다. 향긋하긴 향긋한 칵테일인데, 맛은 자극이 덜한 쌉싸름한 맛이다. 바디감이 굉장이 옅고 맛또한 옅은 편이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좀 향긋한 쓴 물의 느낌일수도 있다. 이유는 보드카의 무미한 특성과 함께 사용되는 크렌베리 쥬스의 맛은 다른 재료에 의해 억제되고, 라임은 적은 양이 쓰이기에 아주 강한 맛이 나진 않는다. 이 모든게 어우러져 부담이 덜하고 질리지 않는 향긋한 칵테일이 탄생된다.

물론 다른 재료의 비중을 올리는 레시피나 향이 가미된 보드카를 쓰는 경우도 있다. 이럴 경우엔 되려 쓴 맛이 좀 강해진다.

'칵테일 > 보드카 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갓 마더 (God Mother)  (0) 2018.07.18
하비 월뱅어 (Harvey Wallbanger)  (0) 2018.06.29
스크루드라이버 (Screwdriver)  (0) 2018.06.25
블랙 러시안 (Black Russian)  (0) 2018.06.15
발랄라이카 (Balalaika)  (0) 2018.06.07
Posted by Regin
,

재료 : 


스카치 위스키 - 45ml

드람뷔 - 25ml


제조법 : 빌드(Building)


가니쉬 : 없음



제조순서


1. 록스 글래스에 얼음을 넣어 준비한다.

2. 록스 글래스에 각 재료를 정량대로 넣는다.

3. 재료가 채워진 록스 글래스를 바스푼 8 ~ 10초간 섞어준다.


재료순서 - 1순서 - 2순서 - 3

※조주기능사 레시피에선 스카치 위스키 30ml와 드람뷔 15ml이다.



에피소드 : 이름은 녹슨 못이라는 의미로, 칵테일의 색에서 이름이 유래했다고 한다. 예전 금주법이 시행된 시대에 유통되던 밀주들의 조악한 맛을 완화하기 위해 드람뷔를 섞은데서 개발되었다고 한다. 칵테일 이름의 유래는 늘 그렇듯, 다른 의미도 있는데 고풍스럽다는 의미로도 알려져 있다.


 : 처음에는 약간 어두운 황금빛이었다가 얼음의 녹음과 동시에 점점 밝은 색으로 변한다. 물론 사용되는 스카치 위스키의 종류에 따라 색의 짙고 연함이 다소 차이가 있다.


 : 간단한 레시피에 별 기대를 안한다면, 큰 반전을 보여주는 칵테일이다. 드람뷔가 스카치 칵테일에 벌꿀과 다른 재료들을 첨가한 리큐어인지라 기본적으로 기주(Base)인 스카치 위스키와 섞였을 때, 풍미를 해치지 않는다. 아주 부드럽고, 적당한 알콜맛과 스카치의 향, 약간의 달콤함이 섞여 일품인 칵테일이다. 드람뷔의 벌꿀때문인지 의외로 약간의 바디감도 느낄 수 있다. 넘길때까지 그 맛과 향이 길게 느껴지는 칵테일로 항상 위스키를 희석시켜 먹는 사람들에게는 아주 좋은 칵테일이다. 기본적인 맛에서 위스키 베이스 칵테일 답게 과한 알콜 향이 느껴지지 않으면서 맛도 부드러우므로 약간 높은 도수를 즐기는 여성들에게도 적합하다.

'칵테일 > 위스키 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드 패션드 (Old Fashioned)  (0) 2018.10.21
뉴욕 (New York)  (0) 2018.06.15
갓 파더 (God Father)  (0) 2018.06.15
롭 로이 (Rob Roy)  (0) 2018.06.12
하이랜드 쿨러 (Highland Cooler)  (0) 2018.05.27
Posted by Regin
,

재료 :


화이트 럼 - 40ml

레몬 쥬스 - 20ml

설탕 시럽 - 10ml


가니쉬 : 없음


제조법 : 흔들기(Shaking)



조순서


1. 마티니 글래스를 준비하고, 얼음을 넣어 칠링한다.

2. 쉐이커에 각 재료를 정량대로 넣는다.

3. 쉐이커를 체결하고 쉐이커를 양손으로 잡은 뒤, 8 ~ 10초간 힘차게 쉐이킹한다.

4. 마티니 글래스에 칠링한 얼음을 버리고, 쉐이커의 음료를 얼음이 딸려들어가지 않게 마티니 글래스에 따른다.


재료순서 - 1순서 - 2순서 - 3순서 - 4

무색투명한 화이트(실버) 럼을 선택한다.

※조주기능사 레시피에선 화이트 럼 50ml, 라임 쥬스 20ml, 가루설탕 1티스푼이 들어간다.



에피소드 : 약 120년의 역사를 가진 오래된 칵테일이다. 쿠바에서 일하던 미국인 노동자들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소 마시던 것에 질려서 해당 지역의 특산품을 사용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 보기로 하여 탄생한 것이 다이퀴리이다. 당시 그들이 일하던 마을 이름을 딴 것(혹은 광산의 이름)이라고 한다.

실존하는 도시의 이름이기도 하다.


 : 개인적으로는 농축 쥬스를 활용(5배 농축 용액이 20% 존재하는-순서 사진상 초록병)하는데, 농축 쥬스의 종류나 혹은 직접 짜낸(스퀴즈) 것이냐에 따라 색 또한 그를 따라간다. 대개는 옅은 연두색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 극단적인 2가지 맛이 존재하는 경우는 칵테일에선 드물지 않긴한데, 다이퀴리 또한 그렇다. 단맛과 시큼한 맛의 조화가 적절히(혹은 둘 다 매우 강하게) 존재한다. 알콜의 쓴맛 때문에 마시다보면 시큼한 맛이 입안에 더 오래남는다. 접하게 된다면 마르가리타만큼이나 인상에 깊게 남는 칵테일이다. 설탕 시럽이 쓰이기에 바디감이 약간 있다. 하지만 레몬보다 훨씬 강한 신맛을 가진 라임이 사용되기에 첫 입맛의 달콤함 후에는 목넘김 때까지 신맛이 강하다. 단 맛에 대해 언급하긴 하였으나, 보통 생각하는 설탕의 강한 단맛이 아닌 옅은 달콤함 정도이다.

'칵테일 > 럼 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바 리브레 (Cuba Libre)  (0) 2018.06.16
플라밍고 (Flamingo)  (0) 2018.06.13
메리 픽포드 (Mary Pickford)  (0) 2018.06.10
아토믹 도그 (Atomic Dog)  (0) 2018.06.05
바나나 다이퀴리 (Banana Daiquiri)  (0) 2018.05.12
Posted by Reg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