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nd Archive :: 2nd Archive

재료 : 


보드카 - 35ml

아마레또 - 35ml


제조법 : 빌드(Building)


가니쉬 : 없음



제조순서


1. 록스 글래스에 얼음을 넣어 준비한다.

2. 록스 글래스에 각 재료를 정량대로 넣는다.

3. 재료가 채워진 록스 글래스를 바스푼으로 8 ~ 10초간 섞어준다.


재료순서 - 1순서 - 2순서 - 3

※본 레시피는 IBA(국제바텐더협회) 기준으로 작성했으나, 갓파더와 마찬가지로 단맛을 줄이고자 2:1비율의 레시피도 많이 만들어진다.



에피소드 : 갓파더와 마찬가지로 의미는 원래 기독교에서 쓰이던 용어이다. 부모가 아닌 종교적인 선생님을 지칭하는 단어였다.

칵테일에선 이름 그대로 갓파더와 함께 짝을 이룬다. 레시피도 기주(Base)인 위스키를 보드카로 바꾼 것 뿐이다.

그럼에도 IBA에 나란히 소개되고 있다. 물론 존 콜린스와 진피즈도 별반 다르지 않음에도 같이 소개되는 마당에 무슨 의미냐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아주 오래된 클래식 레시피가 아님에도 굳이 별도로 소개하는 것은 기주에 의한 풍미 변화가 상당하기 때문이다. 물론 그 이면에는 아마레또라는 훌륭한 소재가 있음은 틀림없다.


 : 색은 보드카때문에 갓파더보다 옅다. 얼음이 좀 녹은 후의 갓파더 색이랄까. 보리빛깔로 맥주색과 유사하다.


 : 갓파더와 유사하게 달콤한 아몬드 맛과 향이 입안에 퍼지면서 넘긴 후 뒷맛으로 쌉쌀한 맛을 낸다. 하지만 보드카의 특성 때문에 아마레또의 향과 맛이 갓파더에 비해 더욱 강하다. 아마레또 때문에 바디감이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은 갓파더와 유사하다.

보통 보드카 + 리큐어 형태로 이루어지는 숏트링크 칵테일은 무향무미한 보드카가 리큐어의 풍미를 살리면서 도수를 떨어뜨리지 않는데 그 핵심이 있다. 물론 다른 목적으로 스카치 워터처럼 독주에 물을 타서 마시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맛과 향을 억제해서 마시기 편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칵테일에서 보드카는 마치 물처럼 맛과 향을 희석시키지만 도수를 유지시키거나 혹은 올리고, 동시에 사용되는 리큐어의 단맛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갓마더는 갓파더와는 달리 아마레또 고유의 맛을 더 잘 느끼게 해준다(물론 대다수의 보드카 + 리큐어에 해당한다). 따라서 아마레또의 종류에 따라 맛이 크게 좌우되는 칵테일이기도 하다.

'칵테일 > 보드카 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쿠아마린 (Aquamarine)  (0) 2021.08.23
불 프로그 (Bull Frog)  (0) 2018.09.01
하비 월뱅어 (Harvey Wallbanger)  (0) 2018.06.29
코스모폴리탄 (Cosmopolitan)  (0) 2018.06.28
스크루드라이버 (Screwdriver)  (0) 2018.06.25
Posted by Regin
,

재료 :


진 - 30ml

캄파리 - 30ml

베르무트 로소 - 30ml


제조법 : 빌드(Building)


가니쉬 : 레몬껍질



제조순서


1. 록스 글래스에 얼음을 넣어 준비한다.

2. 록스 글래스에 각 재료를 정량대로 넣는다.

3. 재료가 채워진 록스 글래스를 바스푼으로 8 ~ 10초간 섞어준다.

4. 레몬껍질을 3cm 정도 길이로 잘라내어, 음료에 즙을 짜 넣은 뒤 껍질도 넣는다.


※국제바텐더협회 레시피에선 오렌지 슬라이스도 추가한다(나머진 동일).

※조주기능사 실기는 본 글과 대부분 동일하고, 재료량만 3/4온스(약 22ml)씩 넣는다.



에피소드 : 유래가 비교적 명확하고, 역사가 생각외로 길지 않은 1962년에 발표된 칵테일이다. 물론 발표일만 그렇고, 실제로는 좀 더 오래된 칵테일일 수 있다.

이탈리아의 카미로 네그로니 백작의 이름을 딴 칵테일이다. 백작이 식전에 한잔씩 마시던 칵테일을 피렌체의 레스토랑 바텐더가 허락을 맡고 백작의 이름을 따서 발표했다고 알려져 있다.

짧은 역사에도 국제바텐더협회에서는 이 칵테일을 당당히 클래식 명단에 올려놨을 정도로 특징이 뚜렷한 칵테일이다.


 : 아주 진한 주홍색 계열을 색상을 보인다. 투명한 빛깔이다. 물론 재료에 따라서는 좀 더 연한 홍차 빛깔이 나기도 한다.


 : 쌉쌀한 맛의 칵테일을 꼽으라면 가장 먼저 나올만한 칵테일이다. 캄파리 특유의 쓴맛이 베르무트 로소의 달콤함과 적절히 섞여있다. 단맛은 아무래도 개인차가 좀 있을테지만 과하지않게 입안에 머물 때 적당히 느껴지는 정도이다. 바디감은 상당히 옅지만 캄파리의 특징 때문에 입안에 살짝 쓴 뒷맛이 오래 남아있는 편이다. 때문에 알콜은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첫입에는 달콤쌉싸름한 동시에, 입안에서 달콤함이 좀 강해지다가 목넘김 후에는 쌉쌀한 맛이 길게 남는 칵테일이다. 대부분의 식전주들이 극단적으로 쓰거나 신맛의 칵테일들이 즐비한데, 그럴 때 네그로니는 적절한 선택이 된다.

'칵테일 > 진 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즈니스 (Bee's Knees)  (0) 2018.09.20
드라이 마티니 (Dry Martini)  (0) 2018.06.20
존 콜린스 (John Collins)  (0) 2018.05.28
블루 버드 (Blue Bird)  (0) 2018.05.21
폴른 엔젤 (Fallen Angel)  (0) 2018.05.08
Posted by Regin
,

재료 : 


꼬냑 - 40ml

베네딕틴 DOM - 20ml


제조법 : 빌드(Building)


가니쉬 : 없음



제조순서


1. 록스 글래스에 얼음을 넣어 준비한다.

2. 록스 글래스에 각 재료를 정량대로 넣는다.

3. 재료가 채워진 록스 글래스를 바스푼으로 8 ~ 10초간 섞어준다.


재료순서 - 1순서 - 2순서 - 3

※꼬냑이 없다면 일반적인 브랜디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에피소드 : 기원은 1937년에 뉴욕의 바에서 만들어졌다. 각 재료의 이니셜을 딴 칵테일이다.

각각으로서는 다소 마시기 부담스러운 술들이 섞여서 절묘한 조화를 나타내는 칵테일이다. 그럭저럭 인기가 있어서 아예 칵테일 자체가 하나의 상품으로도 있다.

베네딕틴 DOM이 다소 비싼편이지만 코카콜라처럼 레시피를 주요임원만 알고 있기에 어설프게 복제품을 써봐야 그 맛이 안난다.


 : 투명한 빛깔의 짙은 살구색 혹은 맥주빛깔이다. 물론 브랜디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 살짝 달콤하면서 약간의 떫은 느낌이 있다. 도수가 좀 있는지라 알싸한 느낌이 입안에 돈다. 그렇다고 알콜 느낌이 강하게 들진 않는데(사실 도수가 강한 칵테일 중 하나이다), 브랜디 특유의 부드러움과 베네틱틴의 달콤함이 합쳐진 결과이다. 색깔처럼 바디감 또한 가벼운 편이나, 마시다보면 입안에 떫은 느낌이 남는다. 얼음이 녹음에 따라 맛이 가벼워 지는 것은 덜한 편이다. 기본적으로 베네딕틴 또한 기주 못지 않게 40%의 도수를 자랑하므로 되려 얼음이 좀 녹는 편이 부드러워지는 편이다. 러스티 네일처럼 간단하지만 꽤나 색다른 맛과 만족감을 선사하는 칵테일이다.

'칵테일 > 브랜디 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티 마더 (Dirty Mother)  (0) 2022.01.12
바나나 블리스 (Banana Bliss)  (0) 2018.08.30
체리 블라썸 (Cherry Blossom)  (0) 2018.06.24
사이드 카 (Side Car)  (0) 2018.06.18
브랜디 알렉산더 (Brandy Alexander)  (0) 2018.06.17
Posted by Reg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