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nd Archive :: 2nd Archive

재료 : 


보드카 - 40ml

오렌지 쥬스 - 140ml


가니쉬 : 오렌지 웨지 1조각


제조법 : 빌드(Building)



조순서


1. 얼음을 채운 하이볼 글래스를 준비한다.

2. 보드카와 오렌지 쥬스를 정량대로 하이볼 글래스에 바로 넣는다.

3. 바스푼으로 10초가량 저어준다.

4. 오렌지 웨지로 장식한다.


재료순서 - 1순서 - 2순서 - 3순서 - 4

※오렌지 쥬스는 펄프(건더기)가 없는 것을 선택한다.

※장식용으로 사용한 오렌지 웨지는 냉동해둔지 좀 된거라 사진상 어색(?)하게 나왔다.



에피소드 : 한국에서는 보통 십자와 일자를 나누어 부르지만, 통칭은 스크루드라이버이다. 일반적으로 색이나 재료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 아님을 단박에 알 수 있는 이 칵테일은 비교적 명확한 사연을 가지고 있다.

1940년대 중동에서 일하던 미국 노동자들은 보드카와 오렌지 쥬스를 섞어마시곤 했는데, 그들은 스푼이 부족했다고 한다. 그 때 스푼을 대신하여 스크루드라이버로 섞어마시곤 했고, 여기서 이름이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 오렌지 쥬스가 살짝 희석되는 정도라 색 자체는 오렌지 쥬스색일 뿐이다.


 : 사실 재료 자체가 색과 맛 스포일러라 이 칵테일을 소개해야하나 생각이 많았다. 하지만 워낙 유명하고 뿌리깊은 칵테일이라 생략하긴 힘들었다. 맛 자체는 알콜이 살~짝 느껴지는 오렌지 쥬스이다(기주(Base)가 보드카라 오렌지 쥬스 맛이 더 잘 살아있다). 그마저도 얼음때문에 시간이 좀 지나면 알콜도 느껴지지 않는다. 그래도 알콜 특유의 느낌은 꽤 오랫동안 목넘김 때 느껴진다. 도수도 10도 정도로 옅다(본 글의 1:3.5기준). 물론 오렌지 쥬스 브랜드 혹은 직접 스퀴즈(이런 바(Bar)가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했냐에 따라 맛이 좌우되긴 하겠지만, 이렇게 말하는건 비약이 지나칠 것 같다. 여하간 언제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칵테일로 전세계 바에서 만날 수 있다(오렌지 쥬스와 보드카가 없는 바는 없을 것이다).

'칵테일 > 보드카 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비 월뱅어 (Harvey Wallbanger)  (0) 2018.06.29
코스모폴리탄 (Cosmopolitan)  (0) 2018.06.28
블랙 러시안 (Black Russian)  (0) 2018.06.15
발랄라이카 (Balalaika)  (0) 2018.06.07
레드 러시안 (Red Russian)  (0) 2018.06.04
Posted by Regin
,

재료 :


꼬냑 - 40ml

체리 브랜디 - 20ml

그레나딘 시럽 - 5ml

레몬 쥬스 - 5m


가니쉬 : 없음


제조법 : 흔들기(Shaking)



조순서


1. 마티니 글래스를 준비하고, 얼음을 넣어 칠링한다.

2. 쉐이커 하단부에 각 재료를 정량대로 넣는다.

3. 뚜껑을 닫고 양손으로 잡은 뒤, 10초가량 힘차게 쉐이킹한다.

4. 마티니 글래스의 칠링용 얼음을 버리고, 쉐이커의 음료를 얼음이 딸려 들어가지 않게 마티니 글래스에 붓는다.


재료순서 - 1순서 - 2순서 - 3순서 - 4

※꼬냑 대신 일반적인 브랜디를 쓰기도 한다.



에피소드 : 만발한 꽃을 연상시키는 칵테일이다. 일본에서 개발되었다고 한다. 사실 꽃보다는 체리 열매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보아야 옳은 색이다. 대부분 벚꽃은 흰 색과 분홍색 꽃이기 때문이다. 흔히 우리가 먹는 체리의 체리꽃(벚꽃)은 관상용 벚나무가 아니기 때문에 한국에서 흔히 보는 버찌의 느낌과는 좀 다르다. 물론 어느 종이든 칵테일처럼 선명한 붉은색은 아니다.


 : 그레나딘 시럽덕분에 발색은 기타 그레나딘이 사용되는 마티니 글래스 칵테일들처럼 짙은 붉은색이다. 다른 재료에 의한 농도의 변화도 없기에 투명함을 가진다.


 :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달콤하다. 꼬냑의 강한 도수가 목넘김 때 조금 느껴지지만, 대체로 체리의 향과 맛이 잘 살아있다. 마시고 나서의 단맛이 입안에 오래 남지 않게 바디감도 가볍다. 이견은 있겠지만 개인적으론 코스모폴리탄이나 뉴욕보다 부담없는 맛이라고 할 수 있다. 적당한 도수(20도 가량)를 유지하면서도 과일맛과 향도 풍부하기에 여성들에게 인기가 많다. 각 재료의 안정성도 괜찮아서 시간에 따라 산미가 강해진다든가 하는 맛변화도 적다.

'칵테일 > 브랜디 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나나 블리스 (Banana Bliss)  (0) 2018.08.30
B&B (Brandy & Benedictine)  (0) 2018.07.14
사이드 카 (Side Car)  (0) 2018.06.18
브랜디 알렉산더 (Brandy Alexander)  (0) 2018.06.17
브랜디 하이볼 (Brandy Highball)  (0) 2018.05.18
Posted by Regin
,

작가 : 카도노 코우헤이(上遠野浩平)

국적 : 일본
번역 : 구자용
출판 : 소미미디어
출간 : 원작 2000년 - 번역 2013년

페이지수 : 258
원서 : ぼくらは虛空に夜を視る The Night Watch into The Night Yawn




책소개


작가의 사변적 철학이 녹아있는 SF 판타지 라이트 노벨이다. 여유가 생긴 작가들이 보여주는 전형적인 작품의 느낌이다. 다소 무거운 주제도 어색하지 않게 잘 전개한다. 큰 틀에서 SF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동시에 본인의 대표작인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처럼 학교가 주가 되는 일상/비일상 구도의 형식을 어느 정도 차용하였다. 작품 내용의 밀도가 나쁘지 않고, 포함된 일러스트 또한 준수하다. 결정적으로 작가의 다른 작품과의 연관성도 있다. 다만 작품 속 전투씬들에서 세부 묘사가 쉽게 머릿 속으로 그려지는 작품은 아니다.



책 속의 문장


|기계라는 것도 참 곤란한 녀석이라고 생각 안해? 세계를 재현하면 된다니 너무나 안이한 생각이야. 마치 고통과 공포가 절대 진공 속에만 있다는 듯이. 굉장히 낙천적인 발상이지······.


'어째서 존재 따위가 있는 것일까? 세계는 이렇게 어디까지나 공허한데 존재 따위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일까?'


|자신으로서는 자신이 생각하는 대로 행동하고 있다고 믿고 있지만 어째서인지 그것이 모두 전에도 있었던 일을 따라가는 것뿐이라거나 다른 곳에서 명령받은 일을 그대로 하고 있는 것 같은 그런 기분이 드는 것이다.



작품 리뷰 
- 내용을 상당수 포함하므로 유의하여 주십시오. 리뷰 부분은 줄거리 아래 구분선으로 나눠져있으니 스포일링를 원치 않는 분들은 리뷰만 읽어주십시오.


개략적 줄거리 :


인류는 새로운 고향을 찾아 수천년간 우주를 여행하고 있고, 그 와중에 허공아로 지칭되는 외계의 적과 싸움을 거듭해 나가고 있다. 이 적과 싸우기 위한 메카가 나이트 워치이며, 이를 조종하는 파일럿들을 위하여 프로그램된 인류의 세계를 구성해놓았다.


이야기는 이 가상의 지구에서의 일상생활과 우주에서의 전투가 마치 리모컨의 On/Off처럼 바뀌는 배경을 성정해두고 진행된다. 물론 원래는 이러한 것을 눈치채지 못해야하는 주인공이 세계의 뒷면을 알게되면서 진행된다.


우주에서 싸우는 파일럿의 정신은 전투가 없을 땐 지구(가상)의 인간 정신 속에 들어가 안정을 취하는데, 본체가 죽으면서 안정제 역할을 하던 주인공(쿠도 효고)이 전투와 생활을 병행하게 되고, 지구(가상)의 정체를 알게 된다.


그러면서 자신과 마찬가지로 파일럿 입장인 카게세와 가상의 세계(지구)의 관리자인 욘과 접촉하게 된다. 하지만 프로그램 내부(지구)에도 적이 존재하여 욘을 해치려하고, 이 과정에서 소꿉친구인 사토미도 휘말리며 차츰 세계의 이면을 본다.


한편 우주에서의 싸움에선 허공아가 방어망을 뚫고 침입하여, 시스템(지구)까지 침투하게 되는 사태가 벌어진다. 쿠도 효고는 우주에서의 싸움과 지구에서의 싸움 모두 대면하게 된다.


인류의 적인 허공아는 쿠도 효고와 인류에 대한 문답을 한다. 쿠도 효고는 양 세계의 적을 모두 물리치며 책은 마친다.


 ̄ ̄ ̄ ̄ ̄ ̄ ̄ ̄ ̄ ̄ ̄ ̄ ̄ ̄ ̄ ̄


필요없는 등장인물을 과감히 배제하여 주요 인물이 5명 정도에 지나지 않지만 이러한 집중을 통해 각 인물들이 되려 선명히 묘사된다.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에서도 사회나 현상에 대한 고찰을 이따금 내비췄었으나, 이 작품에서는 작가의 철학적 사유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주인공 쿠도 효고 외에도 카게세 미사코라는 캐릭터를 통하여 존재 이유에 대한 사유를 말하기도 한다. 틀림없이 작가가 밤하늘 별을 보며 가졌었을 의문들에 대한 고찰도 나타나있다. 이러한 사유들이 납득하기 힘든 방향으로 결론나거나 깨달음을 얻은 것 마냥 그냥 그런 것이다 정도로 넘어가지 않는 것에서 작가의 깊은 사고 정도를 잘 나타낸다.


물론, 일본 라이트 소설 클리셰가 지나치게 많다는 느낌은 있다. 일단 학원물로 시작하는 점이나 한 남자 주인공과 여러 여자 캐릭터를 배치함과 소꿉 친구의 등장 등이다. 심지어 대화 묘사나 일상 묘사에서도 진부한 설정이 있다.


SF 설정은 나름 설정에 공을 들였으나, 부기팝 시리즈에서 합성인간의 능력 묘사만큼이나 쉽게 확 와닿지 않는다. 재출간 후기에서 쿠도 효고를 전투의 천재로 묘사했다곤 하였으나, 안타깝게도 단순한 주인공 vs 적 구도에서 이를 잘 부각했다고 보기 어렵다.


하지만 작가의 다른 작품들과 연관성 있는 것은 꽤나 매력있는 포인트이다. 특이한 설정과 위에서 말한 작가의 심도깊은 철학적 사유만으로도 개인적으론 큰 만족감이 있었던 책이다.


밤하늘의 어떤 별빛은 이미 사라진 별의 빛이 이제서야 도달한 경우가 많다고 한다. 왠지 이러한 사실에서 출발한 작품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참고


- 2000년도에 출간된 작품을 2012년에 재출간한 작품이다.


- 솔직히 몇몇 문장 번역에 좀 오류가 있었다. 정확히 말하면 직역이 남아있는 경우가 있어서 좀 놀랐는데, 내용이나 흐름상에 문제가 되거나 큰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었다.

Posted by Regin
,